노트북 화면 밝기조절 1분 해결

언제부턴가 데스크탑보단 노트북을 사용하는 빈도가 늘어났습니다. 물론 스마트폰으로 웬만한 일들은 모두 처리하지만 그럼에도 노트북이 더 편할 때가 있답니다. 자판을 두드리는 특유의 느낌도 좋아서 전 한동안 노트북을 포기하지 못할 것 같습니다.

 

 

그런데 늦은 밤 노트북을 사용할 때 화면이 너무 밝아서 불편할 때가 있습니다.

 

 

노트북 화면 밝기조절 지금껏 해본 적이 없지만 한번 그 방법에 대해 배워볼까요?

 

윈도우 설정

 

 

 

노트북 화면 밝기조절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윈도우 설정에서 조절해주는 방법입니다.

 

 

윈도우10 화면밝기은 작업표시줄의 검색창에 시스템을 입력해도 되고 시작 메뉴에서 윈도우 버튼을 누른 후 톱니바퀴 모양의 아이콘을 눌러 윈도우 설정으로 접속해도 됩니다.

 

 

윈도우 설정에 접속하면 다양한 메뉴가 뜨는데 노트북 화면 밝기조절은 시스템에서 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하부 메뉴에 디스플레이, 소리, 알림, 전원이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윈도우 설정은 컴퓨터 전반에 설정을 바꿔줄 때 사용하는 곳이기 때문에 들어올 일이 자주 있습니다.

 

 

시스템 안에 들어오면 바로 디스플레이 메뉴라서 바로 화면 밝기 조절을 할 수 있습니다. 전 따로 세팅하지 않았는데 가장 밝게 조절이 되어 있고, 다행인지 야간 모드도 켜 있었습니다. 지금껏 가장 밝아서 눈이 피로했나 싶어 파란 바를 움직여 조금 낯추니 보기가 더 편리합니다.

 

야간 모드 설정도 가능한데, 강도는 물론 야간 모드 예약도 가능합니다. 일반 적으로 오후 6시 3분부터 오전 6시 23분까지는 야간 모드로 세팅되어 있는데 이 시간도 따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 

키보드 자판

 

 

 

이건 노트북 브랜드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. 보통 많이 검색되는 방법은 FN키와 함께 눌러 바로 화면 밝기 조절하는 방법이 나오는데, 아쉽게도 제 노트북엔 화면 밝기 조절 버튼이 없었습니다. 이것 저것 눌러보다 발견한 방법입니다.

 

FN키와 함께 F1키를 누르니 LG control center가 열립니다. 그리고 첫 화면이 매우 친숙합니다. 시스템 설정이 바로 보이는 거죠. 시스템 설정 안으로 들어가니 바로 화면 밝기 조절 버튼이 나옵니다. 앞의 방법보다는 조금 더 간편한 방법이 아닌가 싶습니다.

 

배터리 아이콘

 

 

또다른 방법은 작업표시줄의 배터리 아이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배터리 아이콘을 클릭하면 배터리 모드 확인 및 배터리 설정이 가능하고 그 아래 화면 밝기 아이콘이 보입니다. 이 아이콘은 노트북 브랜드에 따라 보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데, 안타깝게 제 노트북엔 보이지 않습니다.

 

 

화면 밝기 조절은 25, 50, 75,100 4단계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. 꼭 밝은 게 좋은 것만은 아님을 아실 것입니다.

 

제어판

 

 

 

제어판에서도 노트북 화면 밝기조절이 가능합니다. 윈도우10에선 역시 제어판을 검색하는 게 가장 간편합니다. 제어판 안에서 하드웨어 및 소리 메뉴로 접속합니다. 다음엔 전원 옵션을 클릭하는데 여기에서는 화면 밝기 조정 뿐 아니라 배터리 설정 변경, 전원 단추 동작 변경 등도 가능합니다.

 

 

전원 옵션에 들어올 경우 하단에 화면 밝기 조절 탭이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, 안타깝게도 제 노트북에선 보이지 않습니다. 노트북 화면 밝기가 배터리를 가장 많이 소모하기 때문에 컴퓨터를 절전모드로 설정하는 등의 노력을 하면 배터히 효율을 높힐 수 있습니다.

 

 

지금까지 노트북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화면 밝기 조절 방법에 대해서 세세히 배워봤습니다. 저도 이렇게 다양한 방법이 있는지 미처 몰랐습니다. 그렇다고 모든 방법을 알 필요는 없고 자신이 가장 편한 방법 하나만 숙지하고 있으면 되겠습니다.

 

댓글

Designed by JB FACTORY